본문 바로가기
삶 생각/삶! 때론 낯선

발해1300호 탐사대에 대한 산자의 추억

by 구르다 2010. 2. 13.
매년 1월24일에는 경남도청 후문 앞에 있는 대안공간 마루에는 사람에 대한 추억을 간직한 사람들이 삼삼오오 모여듭니다.
발해1300호 학술뗏목탐사대에 활동에 참가하여 돌아오지 않은 이용호대원에 대한 추억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올해가 12번째 추모식이었습니다.

△ 이용호 대원의 모교인 창원대 민주동문회 창우회 회장이 술을 올리고 있습니다.


1997년 12월 31일 발해1300호는 블라디보스톡 끄라스키노항에서 출항하였습니다.
그리고 20여 일 동해의 거친 파도를 이기며 발해항로를 복원하고자 사투를 벌였습니다.
그러나 결국 그들은 돌아오지 않았고 1998년 1월 24일 일본 도고섬에서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되었습니다.
그들은 살아 돌아올 수 있었음에도 그것을 포기하였습니다.
왜 그랬을까?
지금도 의문으로 남아 있습니다.

△ 일본 도고섬 해안에서 발견된 발해1300호 뗏목을 유가족들이 확인하고 있다. 2008.1.27



발해 1300호 뗏목 탐사대에는 4명의 대원이 함께 하였습니다.
창원에서 1월24일 추모제는 이용호 대원을 기리는 추모제입니다. 이용호대원이 졸업한 창원대학교의 친구와 선후배들이 마련하는 추모제입니다.

저도 탐사대 준비과정에 몇 번 기웃거렸습니다.
그리고 제가 속한 단체도 협력단체로 참여 하였습니다.
그들이 남긴 항해일지에는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1월12일(13일째)
09:35 연구소 깃발이 물에 빠진 모양이다. 모두 기분좋게 다 달아 주고 싶다. 대장노릇 힘들다. 그러나 잘해 내었다. 성공 항해가 마무리되면 이것보다 더 좋은 것이 없을 것이다.




△ 1997년 블라디보스톡에서의 발해1300호 출항식


장철수 대장은 배 중에 가장 안전한 것이 뗏목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뗏목이라고 하면 사람들은 아주 작은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발해 1300호는 길이 15m, 너비 5m, 전체 넓이 20평 규모의 결코 작지 않은 뗏목이었습니다.
결국에는 태풍으로 목표한 것을 이루지 못했지만, 동해의 거친 파도와 싸우며 20여 일을 항해하였습니다.
그것도 추운 겨울에 말입니다.
다른 것은 몰라도 장철수 대장의 뗏목 예찬은 입증 된 것이라 하겠습니다.
1월7일(8일째)
08:20 선실의 오른쪽이 내려앉았는 것 같다. 과연 뗏목에서 안정의 한계수치는 어디까지일까? 아직 갈 길이 험하다. 간밤 폭풍으로 키(방향타)가 유실되었다. 감기가 들어 콧물과 기침이 나오고 극도로 체력이 저하되었다.



1월 5일의 뗏목 사진입니다.
탐사대의 1월 5일 항해일지에는 이렇게 적혀 있습니다.

1월5일(6일째)
어제의 거센 바람은 배를 거의 혼수상태로 만들었다. 이빨을 닦았다. 잇몸을 감싸고 도는 단내를 그냥 두기에는 도저히 견딜 수가 없었다.
15:25 밤 사이 힘들었던 항해였다. 일본쪽으로 많이 이동했다.
21:00 나의 탐험은 지금부터다. 넓은 고구려 땅을 당나라와 신라에 빼앗긴 대조영의 심정이 어떠했을까. 



그들은 살아 돌아올 수 있는 기회가 있었습니다.
그런데 왜 그것을 수용하지 않았을까요?
그 답은 그들의 항해일지에서 어렴풋하게 찾을 수 있습니다.

1월11일(12일째)
02:00 북풍이 불고 파고가 높다. 탐사에는 반칙이 있어서는 안된다.



△ 부러진 손 가락에 깁스를 하고도 환하게 웃고 있는 고 이용호 대원


그들은 살 기회가 있었지만, 그것은 정당한 탐사가 아니라 생각하고 용납하지 않았습니다.
무모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20,30대의 젊은이들은 충분히 가질 수 있는 생각이 아닐까요?
그들은 발해1300호 뗏목에 함께 했지만, 그들을 진정 하나로 묶어준 것은 우리의 외로운 섬 독도였습니다.
그들은 죽음을 눈앞에 두고도 해양주권에 대한 걱정과 혹시 자신들의 표류가 나라에 짐이 되지 않을까 하는 것을 걱정했습니다.
1월22일(23일째)
08:00 햇빛이 너무 좋다. 육지 실루엣이 보인다. 시집간 딸이 온 기분이다.
08:50 사과에 비상식을 먹었다. 파도는 너울거리고 바람도 잔다. 또 걱정이다.
10:00 교신. 가는 방향으로 진행하라. 냉정을 찾을 수 없음이 안타깝다. 23일까지 휴가.
15:00 초조한 시간들.
18:00 파도와 바람이 치고 있다. 일본에 가서 수속을 하느니 독도로 항해하자는 의견이 있었지만 오키섬 깊숙이 들어왔다.
22:20 아무리 최선을 다하지만 바람도, 해류도 따라주지 않는다. 무엇으로 이 어려움을 헤쳐 나갈까. 아픈 왼손으로 악다귀를 쓰지만 어쩔 수 없는 상황들. 모든 것은 동물적 생존의식, 약자에게 가해지는 처참함이 내 앞에 놓여있다.
23:20 현재 돛을 내리고 해류를 타고 있다. 도고란 섬을 이야기하며 도고헤이이치로(근대 일본 해군의 국민적 영웅, 충무공 전법을 연구해 1905년 러일전쟁시 대마도 해전서 러시아 함대를 궤멸시킴)를 이야기했다. 이순신에게 빌었다. 지금은 저들에게 갈 수 없노라고. 현재 나침판은 북서를 가리키고 있다. 이상하다.



산 자들은 죽은 자를 추모하며 자기식대로 합니다.
자신이 간직한 추억을 꺼집어 내 보는 시간이 죽은자를 추억하는 방식입니다.
이날 자리에 모인 사람들 역시 앞선 이에 대한 추억을 제각각 간직하고 모였습니다.
12년이라는 시간은 결코 짧지 않습니다.
그러나 그들을 추억하는 제는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실의 우리는 자꾸 늙어 가는데, 사진 속 그들은 늙지도 않고 그때 그 모습으로 웃고만 있습니다.

우리가 추억하고 간직해야 하는 것은 그들의 모습이 아니고 그들이 이루고자 했던 꿈이어야 하는데, 한 해 두 해 지날수록 그것은 자꾸 잊히고 있습니다.



2005/03/17 - [생각!가끔 엉뚱한] - 광복60년 일본넘들이 미쳤습니다..
2008/01/10 - [인연과 천륜/주변사람들] - 발해의 꿈을 찾아서
2008/01/30 - [인연과 천륜/주변사람들] - 발해 해상항로 뗏목탐사대 10주기추모제
2009/01/29 - [인연과 천륜/주변사람들] - 역사가 된 발해1300호 끝나지 않은 항해

발해 1300호 우리의 항해는 끝나지 않았다
카테고리 소설
지은이 양지숙 (명상, 2005년)
상세보기